서울시, "청소년도 시민" 170만 청소년 첫 종합지원정책


(반려동물뉴스(CABN)) 서울시가 인권부터 사회참여, 미래 탐색 및 준비, 국내?외 교류, 체험?휴식까지 약 170만 서울 청소년('청소년기본법?'에서 정의한 만 9세~24세)을 위한 종합지원정책인 '청소년 희망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청소년 정책 분야 첫 중장기 종합계획이다. 5년 간(2017년~2021년) 총 4,868억 원을 투입한다.

청소년들은 우리 미래를 이끌어 갈 핵심 세대이고 특히 지난 촛불정국을 거치며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인 시민이라는 점이 확인된 만큼, 종합지원을 통해 개인적?사회적 주체로서의 역량을 더욱 높이고 학교 교육, 특히 입시에만 내몰려 있어 잃어버린 행복권을 되찾아주겠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그동안 어른도 어린이도 아닌 ‘낀 세대’로서 인식돼 정책 대상자로서 위상이 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시립시설을 활용한 청소년들의 다양한 방과 후·주말 활동을 지원하고, 취약계층 서비스를 본격화하긴 했지만 청소년을 돌봄의 대상으로 인식, 주로 육성과 수련 위주 관점의 정책을 펼치고 청소년의 니즈를 고려하기 보단 양적 시설 확충과 프로그램 개발에만 치중해온 것이 아쉬움으로 지적된다.

청소년 당사자는 물론 교사, 교육청 교육전문가, 청소년시설 종사자, 현장활동가 등 약 2,334명이 참여하는 총 95차례의 숙의 과정을 거쳐 마련됐다.

시는 총 65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방향은 ①청소년 시설 혁신 및 확충 ②청소년 활동 다양화 및 활성화 ②청소년 참정권 확대 및 사회 참여 기반 마련 ④청소년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 ⑤학교 밖 청소년 맞춤형 지원 확대 등이다.

첫째, 청소년시설 인프라가 대대적으로 혁신된다. 노후하거나 활용도가 낮은 공간은 기능을 재편,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 이용 수요가 많은 분야는 관련 공간을 새롭게 확충한다.

핵심적으로, 2021년까지 1자치구 1청소년수련관 시대를 열고(현재 종로구 제외 24개 자치구), 청소년수련관 기능을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혁신적 거점시설로 확대?재편한다. 현재 동아리 활동 등 체험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 중이라면 앞으로는 교육, 진로, 상담, 복지, 보호 등 개개인의 요구에 맞게 관련 기관을 연계해주고 종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는 내년에 운영모델(안)을 마련하고 2019년 시범운영 후 2021년까지 21개소를 순차적으로 기능 개편할 예정이다.

시립청소년시설을 2021년까지 62개소(현재 55개소)로 확대한다. 동주민센터, 학교 등 공공시설 유휴공간을 활용해 ‘아지트’라는 이름의 청소년 전용 휴식·놀이공간도 자치구별 1개소씩(총 25개소) 조성한다.

또, 서울시내 곳곳의 청소년시설에서 진로와 미래 직업을 탐색·체험하고 4차산업 관련 취·창업으로도 연계되는 직업 교육 및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예컨대, 마포·성동 청소년수련관과 하자센터는 드론, SW코딩 등 4차산업 관련 기술교육, 강동·금천 등 15개 청소년수련관은 ‘서울창업허브’와 연계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는 올해 400명을 시작으로 '20년 연 1,000명으로 이용자를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