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아시아뉴스(Pet Asia News) 지난 8월 22일, 충남 천안에서 발생한 ‘파샤 사건’이 전국적인 공분을 일으키고 있다. 러프콜리종 반려견 파샤는 견주 A씨(50대 남성)에 의해 전기자전거에 매달려 수 킬로미터를 끌려다니다 끝내 목숨을 잃었다. 사건 현장에 있던 시민들은 피를 흘리며 쓰러진 파샤를 보고 경찰에 즉시 신고했으나, 초기 대응은 미흡했다. 구조 당시 파샤는 한 시간가량 방치됐고, 중상에도 불구하고 동물병원이 아닌 시 보호소로 이송된 뒤 사망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과 지자체의 대응 지침 부재와 골든타임 상실이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사건 직후 시민들과 동물권 단체들은 견주 처벌과 동물학대 대응 강화를 촉구하는 집회와 온라인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불과 이틀 만에 3만 명 넘게 참여하며 사회적 반향을 증명했다. 동물권단체 케어와 시민행동은 ‘파샤법’ 제정 운동을 시작했다. 해당 법안에는 ▲동물학대자의 동물 소유권 박탈 ▲학대자 등록제 ▲공공기관의 신속대응 의무 ▲동물학대 처벌 강화 등이 담겼다. 현행 동물보호법은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기소율이 30%도 되지 않고, 실형은 극히 드문 실정이
펫아시아뉴스(Pet Asia News) 최근 반려견 훈련의 과격한 방법이 학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훈련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폭력적 방식이 SNS를 통해 유포되면서 반려견을 가족처럼 여기는 보호자들과 동물보호 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반려동물 전문가들은 "반려견 훈련은 신뢰와 긍정을 바탕으로 해야 하며 폭력적 방식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며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반려견 훈련이라는 명목 하에 일부 훈련사들이 과도한 힘을 사용해 반려견들에게 고통을 주는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훈련 방법의 차이가 아니라 동물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반려견들이 겪는 고통과 불안은 단순한 훈련을 넘어 정신적 상처와 트라우마로 남아 이들 개체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제반려동물교육문화원 최경선 원장은 "훈련은 단순한 명령 복종이 아니라 보호자와 반려견 간의 신뢰를 쌓는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올바른 훈련은 폭력적인 강압이 아닌 긍정적인 강화와 과학적 접근을 통해 반려견이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이다. 보호자와 훈련사의 윤리적 책임이 반드시 따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서 자